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rafana
- 온습도
- 활성단자
- 기계설계
- mptt
- InfluxDB
- RevPi Core3
- FFT
- Arduino
- solidwors
- soildworks
- 전기공사사
- 주파수분석
- 아두이노
- 공유폴더
- raspbeey pi
- Raspberry Pi
- sensor
- Node-RED
- ubuntu
- 침수감지
- mf2200
- Rasrpberry Pi
- bme280
- 일본 자격증
- 중성단자
- 누설전류센서
- 상태진단
- 실용영어능력검정
- 출력신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1)
라즈베리팡팡
새로 구입한 누설전류센서를 사용하려 했는데, 출력 신호가 4~20mA의 전류신호였다. 갖고 있는 데이터로거는 전압 신호만 인식 가능하므로 출력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해준다. 출력 신호의 양 +, - 케이블 사이에 250옴의 저항으로 연결하면 전압으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V=I*R 이므로 전류 출력 신호가 4mA일때, 변환된 전압 신호 값은 4mA * 250 = 1V 20mA일 때, 전압값은 20mA * 250 = 5V 이제 전압출력으로 데이터 값 확인 가능^^
[노즐 교체] [히팅베드 교체] ※주의 노즐 교체 후 갭 조정할 때 노즐 위치를 이동시켜가면서 가장 갭이 좁은 곳을 기준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효고현에 설치했던 감시장치가 오늘 0:00부터 센서 데이터를 갱신하지 못하고 있다😭 매일 0:00에는 재부팅하도록 설정했으니 재부팅 후 각 센서의 usb포트번호가 바뀐 것이 원인으로 보임. 저번 포스팅에서 usb포트를 고정했기에 2주일 정도 문제없이 재부팅하고 있었는데 왜 같은 증상이 나오는 걸까😞 https://prasowa.tistory.com/34 [Raspberry pi] USB 포트 번호 고정 https://prasowa.tistory.com/33 [Raspberry pi]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재부팅 설정 crontab은 리눅스에서 정해진 시간에 지정한 명령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라즈베리파이에서 크론탭을 사용하는 방법은 prasowa.tistory.com 노드레드를 확인해 보니 전류센서로 ..
진동센서에 얻은 데이터로 베어링 이상을 감지할 수 있을까? 펌프의 상부 베어링에 축방향으로 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가정해서 실험 준비. 측정된 복잡한 진동 파형만으로는 분석이 어려우므로 진동 값의 실효값을 FFT 변환해서 주파수 특성을 확인한다. [실험과정] - 이상 베어링 재현 베어링의 내륜을 손상시켜서 플레이킹 상태를 재현한다. 사용한 베어링은 UC206. [실험 결과] - 정상 베어링 [실험 결과] - 손상 베어링(내륜 손상 1곳) [실험 결과] - 손상 베어링(내륜손상 2곳 180℃) [실험결과] - 손상 베어링(내륜손상 다수) [실험결과] - 종합 [결론] 베어링은 경화 강철을 재료로 만들어져 기기의 부품 중에서 가장 단단하다. 때문에 베어링의 고유 진동수는 다른 부품보다 높게 나타나며 실제로 베..
AA형 : 単3【たんさん】 AAA형 : 単4【たんよん】 일본에서 AA형 건전지라고 말하니 통하지 않았다😣 알아보니, 일본에서는 건전지사이즈를 가리키는 말이 달랐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AA, AAA형은 각각 単3、単4形로 사용한다. 한국은 미국식 표기, 일본은 jis규격대로 표기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