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aspbeey pi
- soildworks
- InfluxDB
- 중성단자
- 실용영어능력검정
- FFT
- RevPi Core3
- 아두이노
- 일본 자격증
- ubuntu
- 누설전류센서
- 온습도
- 기계설계
- Rasrpberry Pi
- 출력신호
- 전기공사사
- bme280
- Node-RED
- mf2200
- Arduino
- solidwors
- Raspberry Pi
- 상태진단
- 활성단자
- sensor
- 침수감지
- 주파수분석
- 공유폴더
- mptt
- Grafana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1)
라즈베리팡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1pTMv/btrx4SbqcTB/tyei5g2BV5KZs2CxqBg3WK/img.png)
아두이노의 시리얼 모니터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엑셀로 저장해보자🙃 아래 링크에서 PLX-DAQ의 최신 버전(2.11)을 준비. https://forum.arduino.cc/t/plx-daq-version-2-now-with-64-bit-support-and-further-new-features/420628 압축을 풀고 나면, PLX-DAQ-v2.11.xlsm라는 엑셀 파일이 있다. 실행해서 아두이노 IDE과 동일하게 포트번호와 bps를 설정한다. 나머지 설정은 디폴트 값으로 OK. 커넥트 버튼을 클릭하면 엑셀에 기록을 시작하지만, 그전에 아두이노의 스케치를 수정해 줄 필요가 있다. https://prasowa.tistory.com/16 Arduino nano + BME280 삼각형 표시 나노에서 업로드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Y4OW/btrx1InezkQ/N9vgg3lfdywcLQQ53YRk7K/img.jpg)
삼각형 표시 나노에서 업로드시 에러발생. (avrdude: verification error; content mismatch) bme280센서 덕분에 간단하게 온습도를 측정 할 수 있었지만, 간혹가다 스케치가 업로드 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문제없이 사용 할 수 있다🤲 https://lastminuteengineers.com/bme280-arduino-tutorial/ 샘플 스케치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SEALEVELPRESSURE_HPA (1013.25) Adafruit_BME280 bme; void setup() { Serial.begin(9600); if (!bme.begin(0x76)) { Serial.println("Could n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UY4F/btrx30tI98P/E2OYsuLfkeCGyG7NH6kTek/img.jpg)
삼각형 표시 나노에서 업로드 시 에러가 발생(avrdude: verification error; content mismatch) ISP주소를 고치면 재사용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전류센서에서 보드쪽으로 역전류가 들어온 게 고장원인 같다😇
작업하던 라즈베리 파이의 sd카드에 설치했었던 패키지나 모듈이 너무 많아서, 다른 파이에서 같은 환경을 만들기에는 수고가 걸릴 때가 있다. 파이안에서 sd카드를 복사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줄 알았더라면 이런 수고는 안 했을 텐데..👊 준비물 1. 사용 중인 마이크로 sd카드 2. 복사해둘 마이크로 sd카드 3. sd카드 리더기 복사하기 1 - 새로운 sd카드를 리더기에 꼽고 리더기를 사용 중인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한다. 복사해둘 sd카드가 새 제품이 아니라면 sd카드를 포맷하여 사용. 2 - 라즈베리파이에서 시작 메뉴 - Accessories - SD Card Copier를 열어준다. 3 - 윗부분이 현재 sd카드이고, 아래란이 복사해둘 sd이다. 각각의 란에 알맞은 sd카드를 선택. 4 - Start를..
키보드의 Insert키를 한 번만 누르면 해결. Insert키는 삽입모드와 수정 모드의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디폴트 설정으로는 삽입모드 상태이며,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대부분 삽입 모드로 사용한다. 보통 backspcae를 사용할때 옆에 있는 Insert키를 건드리게 되서 문제가 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Dr5fd/btqBhDDlSM2/UgllQ7mf6cqRUdSpkYOy9k/img.png)
I2C 통신으로 100m 정도 떨어져 있는 장치의 센서부터 데이터를 받아 올 수 있을까? 지금까지는 센서와 1m 정도의 케이블로 측정했고, 케이블의 거리를 100m 이상으로 연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식이 전무했으므로, 방법에 대해서 조사한 내용을 정리해둔다. 1. I2C 통신 케이블의 최대 거리? "I2C는 애초에 장거리를 위해 설계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연장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면 자체 저항이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그만큼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된다." 라고 하는데 최대 거리가 명확하게 나와 있는 곳은 없었다. i2c의 속도, 사용한 케이블, 풀업 저항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대체로 I2C는 HDMI와 같은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10m정도의 거리라면 올바르게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