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ode-RED
- raspbeey pi
- FFT
- 전기공사사
- 상태진단
- ubuntu
- mf2200
- bme280
- mptt
- soildworks
- InfluxDB
- 일본 자격증
- Rasrpberry Pi
- 침수감지
- sensor
- 중성단자
- RevPi Core3
- 활성단자
- 실용영어능력검정
- Arduino
- 기계설계
- 누설전류센서
- 출력신호
- 공유폴더
- Grafana
- 주파수분석
- 온습도
- solidwors
- 아두이노
- Raspberry Pi
- Today
- Total
목록전자공작 (30)
라즈베리팡팡

효고현에 설치했던 감시장치가 오늘 0:00부터 센서 데이터를 갱신하지 못하고 있다😭 매일 0:00에는 재부팅하도록 설정했으니 재부팅 후 각 센서의 usb포트번호가 바뀐 것이 원인으로 보임. 저번 포스팅에서 usb포트를 고정했기에 2주일 정도 문제없이 재부팅하고 있었는데 왜 같은 증상이 나오는 걸까😞 https://prasowa.tistory.com/34 [Raspberry pi] USB 포트 번호 고정 https://prasowa.tistory.com/33 [Raspberry pi]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재부팅 설정 crontab은 리눅스에서 정해진 시간에 지정한 명령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라즈베리파이에서 크론탭을 사용하는 방법은 prasowa.tistory.com 노드레드를 확인해 보니 전류센서로 ..

https://prasowa.tistory.com/33 [Raspberry pi]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재부팅 설정 crontab은 리눅스에서 정해진 시간에 지정한 명령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라즈베리파이에서 크론탭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sudo crontab -e 편집화면에서 아래 문장 추가 (매일 0시 1분에 prasowa.tistory.com 저번 포스팅에서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재부팅하도록 설정했는데, 재부팅 시 라즈베리파이와 연결되어 있는 usb포트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 usb로 연결된 기기의 고유 정보를 이용해서 임의의 포트를 만들어서 고정한다💪 1. 터미널에서 입력 : dmesg | grep ttyUSB 2. 터미널에서 입력 : udevadm info --name=/dev/..
crontab은 리눅스에서 정해진 시간에 지정한 명령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라즈베리파이에서 크론탭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sudo crontab -e 편집화면에서 아래 문장 추가 (매일 0시 1분에 재부팅실시.) 1 0 * * * /sbin/reboot 예약 중인 작업 확인 sudo crontab -l 예약 중인 작업 모두 삭제 sudo crontab -r 참조 참고링크
라즈베리의 ssh를 개방하고 장시간 방치하다보면 외부에서 접속시도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접속한 ip주소를 찾아보면 역시나 90%이상은 중국쪽에서 시도하는 것 같다. 혹시 모를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간단하게 수상한 주소를 차단시켜 주는 방법을 알아두자 fail2ban 설치 sudo apt-get install fail2ban fail2ban 설정 sudo vi /etc/fail2ban/jail.conf ignoreip : 차단하지 않을 IP bantime : 차단할 시간. (초단위) findtime : 차단 횟수의 카운트 시간 maxretry : 허용할 차단 횟수 부팅 시 자동 시작 sudo systemctl enable fail2ban.service 참조 https://www.withover.c..

Raspberry Pi를 Node-RED로 AWS IoT에 연결하는 방법 라즈베리파이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AWS IoT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한다. 아래는 사용한 도구들. (3, 4, 5는 테스트를 위해서 사용) AWS계정 (프리티어) Raspberry Pi4 (Raspbian 설치됨) Arduino nano BM prasowa.tistory.com 라즈베리파이에 설치된 Node-RED를 사용해서 AWS IoT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내용에 대해서 정리했었는데, 이번에는 MQTT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록한다🥺 Node-RED 설치 https://prasowa.tistory.com/24 InfluxDB 설치 https://prasowa.tistory.com/25 Grafa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