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bme280
- Rasrpberry Pi
- 기계설계
- Grafana
- raspbeey pi
- soildworks
- mf2200
- ubuntu
- RevPi Core3
- 중성단자
- 누설전류센서
- 주파수분석
- solidwors
- Raspberry Pi
- 실용영어능력검정
- Arduino
- 일본 자격증
- 아두이노
- 상태진단
- 활성단자
- InfluxDB
- 침수감지
- 출력신호
- 공유폴더
- FFT
- 온습도
- mptt
- Node-RED
- 전기공사사
- senso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공진 (1)
라즈베리팡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CnLPT/btrz5okK0WX/4SbU9XrjupVwcCUK9mSPl0/img.png)
물체마다 고유의 진동 수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에서 받는 진동이 고유 진동과 일치하면 진동이 증폭하는 공진이 발생한다. (소리의 경우는 공명) 고유 진동수는 형태와 재질, 고정 방법 등 다양한 요인 따라 변화한다. 회전기계에 있어서도 축과 연결된 회전체의 고유진동수와 축의 회전수가 일치하면 공진이 발생하고 이를 위험 속도라고 한다. 위험 속도에서 운전이 계속되면 축이 부러지거나 하는 고장의 원인 되므로 설계 시 위험 속도와 일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험 속도(n)를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y : たわみ(굴곡도) [mm] m : 회전체의 무게 [kg] d : 샤프트 직경 [mm] b : 베어링1,2 간의 거리 [mm] a : 베어링2와 회전체 간의 거리 [mm] w : 각속도 [rad/s] ..
엔지니어/기계
2022. 4. 21. 16:04